기름 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요즘 '기름값 아낄 수 있는 좋은 방법 없나?' 우리 시대 운전자 모두의 고민이다. 기름값 걱정? 운전 습관부터 바꾸자!
교통안전공단 통계자료에 의하면 1800㏄를 기준으로 2월평균 유가 기준으로 "나쁜 운전 습관을 고치고 연료를 절반만 채우는 것으로도 연간 70만 원 이상의 기름 값을 줄일 수 있으며, 차량을 1500RPM, 시속 20km로 출발하면 급가속 할 때보다 연료를 20% 줄일 수 있고, 신호대기 때 기어를 중립에 놓거나 시동을 끄면 무려 30%나 절약된다고 한다.
■ 급 발진·제동·가속은 하지 말아야한다.
운전습관 하나로 연료 소모를 절반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셈이다. 차량의 속력을 갑자기 높이는 급가속을 하면 연료 소비가 커지는 것은 엔진에 분사되는 기름 량이 그만큼 많아지기 때문으로 출발할 때 시속 20km까지는 천천히 속력을 높여야 하는 이유다.
급발진을 10번 할 경우 100cc 정도의 연료가 소모된다. 이는 1㎞를 달릴 수 있는 연료량이다.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는 급제동도 마찬가지다. 급발진처럼 순간 출력을 요하기 때문에 연료 소모가 많아지는 것이다. 급발진과 급제동은 차량의 내구성도 떨어뜨리니 피하는 게 상책이다.
정속 주행하는 것도 기름 값을 아끼는 지름길이다.
규정 속도를 8㎞ 초과할 경우 연비가 23%나 낮아지는데, 빨리 달리면 기름 소모가 늘어날 뿐 아니라 강한 바람을 맞아 공기저항이 커지는 탓이다. <일예로 80km이상의 속도 시 창문을 열고 운행하는 것과, 창문을 닫고 에어콘을 켜고 운행하는 것과 같은 연비가 나옵니다.>
공회전도 연료 먹는 하마다. 공회전을 3분하면 시속 50㎞로 1㎞를 달릴 수 있는 연료가 소모됨으로, 차량이 3분 이상 오래 서 있을 때는 시동을 끄고 신호대기 시 변속기를 중립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연료 가득? NO!" 차량은 최대한 가볍게
"어떻게 하면 차량 무게를 줄일 수 있을까?"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다. 무게는 연비의 최대 적이기 때문이다. 차량 무게가 45kg씩 늘어날 경우 연비 효율이 1~2%씩 떨어짐으로 유명 제조사들이 차량 무게를 줄이는 연구에 천문학적인 돈을 들이는 이유다. 차량의 무게를 줄이는 것은 운전자들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불필요한 물건을 차에 두지 않으면 된다. 이에 연료는 가득 채우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주유해 차량 무게를 줄여 주는 것이다. 요즘처럼 기름 값에 예민할 때는 더욱 그렇다. 휘발유의 무게는 ℓ당 대략 0.8㎏. 50ℓ를 채울 경우 기름 무게만 40여 kg에 달하는 셈으로, 주유소를 지나치다 기름 값이 조금 싸다고 '만땅' 채우면 연비가 나빠져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트렁크도 될 수 있으면 비워둬 차량의 무게를 줄여야 함으로, 시외나 장거리운행이 아닌 시내운행 일 때는 정비소가 요소요소 산재해 있음으로 청소도구나 사고 발생을 대비한 공구, 안전삼각대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타이어의 공기압도 연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승용차의 경우 평균 32~40psi를 이상적인 공기압으로 봅니다. 1psi만 줄어도 연비가 3%나 떨어지고, 공기압이 너무 높아도 핸들링에 나쁜 영향을 주고 승차감이 나빠짐으로 항상 적정공기압32~40psi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고유가시대에 여러분의 지혜로 연비를 향상시켜 조금이나마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드리고자 리포팅하였으니 많은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ps: 자동차의 연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동차 소모품.
1. 엔진오일, 에어필터, 오일필터, 연료필터.
2. 점화플러그, 점화배선.
3. 타이어,
위의 소모품을 적정시간에 교환하면 연비에서 이득을 가져옵니다.
'자동차이야기 > 자동차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에어컨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0) | 2012.06.19 |
---|---|
황사철 미리 알아야 할 자동차 관리법 (0) | 2012.03.26 |
1.5톤이상 트럭 보험료 최대 20% 인하 (0) | 2012.03.14 |
이륜자동차 보험료 낮추고 운전면허제도 개선 (0) | 2012.03.02 |
자동주차보조시스템 (0) | 201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