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설이타령
⚫정의
각설이패들이 걸식하면서 부른 노래.
⚫개관
각설이패는 집단을 형성하고 활동하였다. 각설이패의 주 활동 무대는 장터와 거리, 잔칫집과 초상집이었다.
그들은 하층민 가운데서도 맨 밑바닥 생활을 하며 유랑·걸식하였지만 남의 도움을 그냥 받지 않고 오히려 노래를 듣는 청중을 위로하는 오락적 흥겨움과 축원의 가사를 선사하였다.
각설이에 대한 문헌 기록은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에서 처음 발견된다. <박타령>과 <변강쇠가>에서 각설이가 등장하고 <장타령>과 <각설이타령>이란 노래의 명칭도 나타난다.
문헌 기록 이전, 각설이의 연원이 어디까지 소급될지는 알 수 없다. 각설이는 재인 광대 출신일 가능성과 함께 몰락한 양반, 소외된 지식인, 민간의 노비, 유랑 농민, 천민 계층의 사람들이 걸행 도중 각설이패에 합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각설이패가 사라지면서 <각설이타령>은 공연장의 예능 연행물로 전승되고 있다.
⚫사설
어헐씨구시구 들어간다/ 저헐씨구씨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
각설이라 하지만/ 이래 봬도 정승 판서 자제로/ 팔도 감사를 마다하고/
돈 한 푼에 팔려서/ 각설이로 나섰네/
지리구 지리구 잘한다/ 품파 하고 잘한다/
네 선생이 누구신지/ 날보다도 더 잘하네/
시전 서전을 읽었는지/ 유식하게도 잘도 한다/
냉수동이나 마셨는지/ 시원시원 잘한다/
기름동이나 마셨는지/ 미끈미끈 잘한다/
뜨물통이나 먹었는지/ 걸직걸직 잘한다/
지리구 지리구 잘한다/ 품파 하고 잘한다/
앉은 고리 동고리/ 선 고리는 문고리/ 뛰는 고리 개고리/ 다는 고리 귀고리/
지리구 지리구 잘한다/ 품파 하고 잘한다
- 한국의 민요 -
장 자 한 자 들고 봐/ 장한 숲에 범 두 마리/
일류 포수가 다 모아도/ 그 범 한 마리 못 잡고/
눈먼 봉사가 잡았단다/
그 범 한 마리 잡을라고/ 일등 포수가 다 모여도/
그 범 한 마리 못 잡고/ 진주에 났는 박 포소/
몽당총으로 범 잡았네/
장 자 한 장 들고 보니/ 키이 크구 늙은 중놈/
아랫목에 똥 싸놓고/ 웃묵으로 올라간다
- 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 성주 -
⚫내용
<각설이타령> 사설은 각설이 자신들에 대한 자기 묘사의 도입부, 입방구인 반복구, 가장 많이 전해오는 장(10) 자까지의 숫자뒤풀이로 구성된다. 도입부에서 ‘정승 판서의 자제로 팔도감사를 마다하고 돈 한 푼에 팔려서 각설이로 나섰다’는 자기 묘사는 각설이패의 출현을 알리며 은연중에 일부 각설이들의 출신을 드러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각설이패의 이런 과장법은 청중에게 웃음을 촉발하고 미미한 의혹을 일으키는 이중적 효과를 거둔다.
입방구(“어허품아 각설이 품바나 품바나 잘한다/ 저리시구 저리시구 잘한다”)는 각 장이 바뀔 때 반복되며 타령의 앞·중간·끝부분을 장식하는 들러리이다. 이 반복구는 각설이의 출현을 시끌벅적하게 만들며 각 장을 생동화한다. 청중은 반복되는 입방구만을 쉽게 기억하고 합창하며 동참한다.
1~9자까지 사설은 주로 희극적 구조를 지닌다. 그러나 절정부의 장 자 대목에서는 반전이 있다. 범과 포수와 늙은 중이 등장하여 각각 비판의 대상이 되는데, 마을굿과 탈춤에 나타난 저항 의식을 이 부분에서 엿볼 수 있다.
⚫특징 및 의의
<각설이타령>과 <장타령>은 창자인 각설이패와 장타령꾼이 다르듯 각기 다른 노래이다. 각설이패는 시장의 노래인 <장타령>을 레퍼토리로 흡수해서 부르기도 하여 양자가 같은 노래인 양 취급되기도 하였다.
각설이의 어원은 ①각설하는 사람, ②사회에서 서리(된서리)맞은 사람, ③각각 서리해오는 사람 등의 설이 있다. 각설이는 ‘거지’나 ‘동냥아치’로 불리는 걸인과 구별되고 음악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풍각쟁이, 초라니패, 광대, 걸립패, 남사당, 사당패 등과 일면 유사한 점이 있다.
<각설이타령>에서 기본 구조가 된 숫자뒤풀이 양식은 각설이패의 성격과 부합한다. 뒤풀이는 본풀이에 대한 대응이며, 아(雅)에 대한 속(俗), 정(正)에 대한 반(反)을 의미한다.
<각설이타령>이 겉으로 보여주는 해학 이면에는 유랑의 괴로움과 사회적 불평등에 항거하는 분노가 서려 있다.
출처:
『품바가 좋은 사람들의 수다방』 카페 바로가기 http://cafe.daum.net/4519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설이타령 (공주) (0) | 2018.08.17 |
---|---|
각설이 타령 (김제) (0) | 2018.08.17 |
7월 (七月) 칠석 (七夕) (0) | 2018.08.17 |
법기수원지 (0) | 2018.08.13 |
입추[立秋] (0) | 2018.08.07 |